국내여행/사찰,성당,교회

[인제] 옥과같은 맑은소의 계곡따라 "님의침묵"이 탄생한 고즈넉한 백담사

해피송702 2011. 8. 16. 23:44

 

 

 

 

 

              옥과같은 맑은소의 계곡따라 님의침묵이 탄생한

                                     고즈넉한 백담사

 

              사계절이 아름다움을 발살하는 설악산.

             푸르름속에 시원한 계곡물이 흐르는 백담계곡에도 이제 얼마 지나지

             않으면 붉은 단풍으로 유혹할것 이다. 

             언제인지 기억이 가물가물해지는 저편에 조그만 봉고의 마을버스를 타고

             아슬아슬 지나던 하얀 바위의 백담계곡은 물이 너무도 맑아 옥빛을

                    띄고 있었다.

                             

                '님의침묵'과 '조선불교유신론' 그리고 '불교대전' 등 많은 저술을 남겼던

                     만해 한용운(1879~1944) 스님의 사상과 문학정신을 기리는

                 ‘2011 만해축전’이 11일부터 14일까지 백담사와 만해마을에서 열렸습니다.

                          

                    이른 새벽 지하철을 타기위해 집을 나섰다.

                   에그머니나!...5시38분에야 지하철을 탈수 있다니... 30~40여분을 기다린 끝에 6시 35분

                   고속버스를 타기위해 동서울 터미널로 달음박질~ 흐미...연휴라서 그런지

                  사람들과 증차된 자동차가 서로 엉켜 전쟁통이였다.

                  다행히 2시간10분을 넘어선 3시간만에 백담사 입구에서 하차할수 있었습니다.

                              

                    백담사 입구에서 약 500m쯤 걷다보면 백담 주차장이 나온다.

                   이게 뭔 줄이여~ ㅎㅎㅎ 휴가에 연휴다 보니 셔틀버스 타려고 서있는

                   사람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구불구불 이리저리 뱅뱅 돌아 앞차 10대쯤

                   보내고서야 우리 차례가 돌아 왔네요.

                                         

                 셔틀버스를 타고 지나는 백담계곡, 옥빛의 맑은물은 하얀 기암괴석의 바위와

                 어우려져 넉넉한 풍경을 자아 내는데, 멋진 풍경을 놓칠세라 달리는 차안에서

                 연신 풍경을 그려 보았습니다.

                                   

                      백담사로 들어가는 수심교,

                   녹음이 우거져 설악산이 감싸안고 있는 백담사는 하나의 절경 있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의 말사이다.

                이 절의 기원은 647년(진덕여왕 1)에 자장(慈藏)이 창건 하였으며

                한계사(寒溪寺), 운흥사(雲興寺), 심원사(深源寺), 선구사(旋龜寺),

                영취사(靈鷲寺), 심원사(尋源寺)에 이어 다시 백담사로 환원했다.

                전설에 의하면 거듭되는 화재로 절 이름을 고쳐보려고 하던 어느날 밤,

               주지의 꿈에 백발노인이 나타나 대청봉에서 절까지 웅덩이를 세어보라고

               해서 이튿날 세어보니 100개였다.

               그래서 담(潭)자를 넣어 백담사(百潭寺)로 이름을 고쳤다고 합니다.

                                                                                                           

                여행자 울 부부가 가던날이 백중이여서 많은분들이 영가천도제를 지내고 있었다.

                 

                        백담사 극락보전 목조아미타불좌상부복장유 : 보물 1182호

                    백담사 극락보전 안에 주불(主佛)로 모셔져 있는 이 목불좌상은 조선 영조

                    24년(1748)에 만들어졌으며,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다.

                   18세기 전반의 불상 가운데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되는 이 목불상은 불상의

                    조성연대를 알려주는 발원문(發願文)과 많은 복장물이 있어 특히 주목된다.

                                 

                                      염원을 담은 기와불사, 여행자도 업장소멸을 빌며

                                      소원성취를 실어 보았습니다.

                                           

                                          약 3년여만에 와보니 새로와진 것들도 눈에 띄이고,

                                          백담사에서 자장이 관음진신을 친견하였다는 관음암의 후신인

                                          오세암을 거쳐 부처사리를 봉안함으로써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의 하나가 된 봉정암을 올라 대청봉까지 올랐던 기억들이

                                          새록새록 떠오르는군요.

                                          이제 나이도 몸도 생각도 늙어가나 봅니다.

                                          왜냐구요...1년에 서너번씩 대청봉에 올라 속초 앞바다를 바라보던

                                          산행을 포기하고 고운 단청으로 닥아선 백담사를

                                          둘러 보는것으로 만족 하려고 한답니다.

                                                                                                                                           

                                         산사에서는 공양간외에는 식사를 챙길곳이 없지요.

                                         컵라면이 오늘의 점심이자 간식? 이예요.

                                         어느때보다 국물이 끝내주던군요...ㅎㅎㅎ

                                         후식으로 커피와 과일까지 챙겼습니다.

                              

                    내설악의 맑은 물은 백담사 전경앞에 흐르고, 무더위를 식히려는

                    여행인들은 시원한 물에 발을 담그고 놀고 있었어요.

                    주변엔 온통 소망을 담아 쌓은 돌탑들이 계곡을 채우고 있었으며,

                    아이와 정성스레 돌탑을 쌓는 모습들이 그자체가 행복이고 넘 아름다웠습니다.

                                        

                 여행자 해피송도 선돌님과 발을 담근채 돌탑을 쌓아 보았지요.

                 흐르는 물에 더위가 저만치 물러 가면서 피로가 싹 풀리는것 같았습니다.

                 

                       여름철 대표적인 수련, 향기는 벌을 불러오고 반영이 아름다웠어요.

                       

                     자신의 얼굴 모습이 어디엔가 있다는 나한전,

                     여행자 얼굴은 어떤 표정을 하고 있을까요...

                      잠시 기웃거려 보았어요.

                           

                                        산사에 오게되면 왠지 물한모금쯤 마시고 가야 할것 같아서요.

                                        시원한 물로 목을 축여 봅니다.

                                           

               현재 백담사에는 법당, 법화실, 화엄실, 나한전, 관음전, 산신각 등 기존건물 외에

               만해 한용운 선사의 문학사상과 불교정신을 구현하기 위해 만해기념관, 만해 교육관,

               만해연구관, 만해수련원, 일주문, 금강문, 만복전, 만해도서관, 요사채, 양로실, 만해당,

               헌다실, 적선당 등 16개의 건물로 구성된 한국의 대표적인 고찰의 하나이다.

               백담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기초선원으로 지정되어 갓 득도한 승려들이

                   참선수행을 하고 있다.

                     

                     시비와 만해상 앞에서 선돌님 인증샷,

                     이날 해피송도 인증샷 많이 찍었습니다. 

                                     

                          백담사는 만해 한용운[1879~1944] 선사는 1905년 이 곳 백담사에서 머리를 깎고

                          입산수도하여 깨달음을 얻어 [조선불교유신론]과 [십현담주해]를 집필하고

                          [님의 침묵]이라는 시를 발표하는 등 불교유신과 개혁을 추진하였으며, 일제의

                          민족 침탈에 항거하여 민족독립운동을 구상하였던 독립운동의 유적지로서도 유명하다.

                                

                  만해축전의 마지막날인데도 만해선사를 찾는이들로 북적였다.

                  만해 기념관에는 만해 선생의 민족사랑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자료와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만해 한용운 스님은 1879년 충남 홍성 갈산에서 한용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했으며 1903년 오랜 번민과 유랑 끝에 불가에 입문, 1905년 백담사에서 연곡 스님을

                  은사로 득도하였다. 법명은 봉완, 법호는 용운, 자호 및 필명은 만해이다.
                  1919년 3.1운동 당시 33인의 대표로 독립선언 기념 연설을 하고 3년의 옥고를 치뤘다.

                  이후 많은 인사들이 훼절하여 친일파로 전락하였으나 스님은 끝까지 지조를 지키며

                  독립운동과 불교계 혁신에 헌신하다. 1944년 6월 29일 심우장에서 입적하였다.

                                                          

                      아련한 여운이 남는 기와담장,

                     마음이 포근해지는것만 같습니다.

                             

                    갑자기 분주해지며 스님들의 발걸음이 빨라졌다.

                    많은 사람들이 종각을 에워쌓고..... 두둥~ 두둥~ 울려 퍼지는 고즈넉한

                   법고 소리는 나의 번뇌를 잠재워줄듯 나비의 날개처럼 사뿐사뿐 웅장하게 울려 퍼진다. 

                    나를찾아 떠나는 시각인양, 잠시 나를 내려 놓았네요.

                                          

                   백담사는 내설악의 아주 깊은 오지에 자리잡고 있어서 옛날에는

                  사람들이 좀처럼 찾기 힘든 수행처였다.

                  수많은 운수납자가 불원천리하고 이곳을 찾아 백담사 계곡을 찾아 시원하게

                  흘러가는 계곡의 맑은 물에 객진번뇌를 털어내고 설악영봉의 푸른 구름을

                  벗을 삼아 출격장부의 기상을 다듬던 선불장이었다. 

                  [백담사 사적기]에 의하면 부속암자로서 유지만 남아있는 곳으로 동암, 원명암,

                  백련암, 축성암 등 8개의 암자가 있었다.

                                                                                     

                        아름다운 설악의 풍광을 찾아 시원한 계곡 물줄기속에

                        넉넉해 보이는 산사에서 보내는 시간이 참으로 행복 하였습니다.

                                          

                용대리에서 백담사까지는 약7km, 셔틀버스로는 15분여 걸리지만 도보로는

                약 2시간쯤 걸린다. (셔틀버스: 편도 2000원)

               예전에는 4km만 셔틀버스로 가다가 3km에서는 걸어가야 헀는데

               이제 산사앞까지 버스를 운행하니 너무 편안 하였다.

               한가지 흠이라면 시원한 백담계곡의 멋진 풍경들을 느끼지 못한다는것...

               이렇게 달리는 차안에서 지나는 나뭇가지 사이로 감탄을 하고 있답니다.

               소형 버스가 다니지만 길은 앞선 두사람이 지나기에도 넓지않은 산길,

               무전기로 교신하며 비켜 달리수 있는 장소에서 다음 버스를 기다리곤 하지요.

                    

                                         서울 동서울에서 백담사까지 요금은 14900원이며 이시간표는

                                         백담사에서 가는 차편이므로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여행정보: 강원 인제군 북면 용대리 22-33

                                                         홈페이지: http://www.baekdamsa.org/

                                       자가용: 서울- 춘천간고속도록- 동홍천- 인제읍- 미시령가는길- 백담사입구

                                       산행코스정보: 용대리- 백담사- 영시암- 봉정암-소청봉-중청봉-대청봉=

                                       * 희운각대피소- 천당폭포- 양폭포대피소- 오련폭포- 비선대휴게소-

                                        소공원- 신흥사코스

 

                         

                      ♠ 인제의 또 다른 여행기를 보시려면

     온라인게임을 실제 체험과 스릴로 서든어택 얼라이브를 즐겨보자!: http://blog.daum.net/sso702/18296965

     매바위100m 수직암벽의 모험스포츠 아이언웨이(Iron Way) 해피송도전하다,: http://blog.daum.net/sso702/18296961

     내린천의 신종레포츠 스릴쨩 매력쨩 계곡물살 급류타기 리버 버깅: http://blog.daum.net/sso702/18296925

                                                                                                                               

                                            

                                                오늘도 즐건날 되시고 추천댓글을 부탁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