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사찰,성당,교회

[영광] 붉은 꽃 물결이 넘실대며 고즈넉한 산사(山寺) 불갑사

해피송702 2011. 9. 16. 16:08

 

 

 

 

 

                                   붉은 꽃 물결이 넘실대며 고즈넉한 산사(山寺) 불갑사

 

                                   해마다 이맘때만되면 불갑사 주변에 꽃무릇이 가득 피어 매혹적인

                                           붉은빛의 자태를 들어낸다.

                                  잎이 나올 때는 꽃이 없으며 꽃이 필 때는 잎이 볼수없는 잎과 꽃이

                                   서로 그리워 한다고 해서 "상사화"라 불리기도 하는 "꽃무릅",

                                   무언가 그리움에 잠기는 빨간 꽃무릇에 추억을 담아보려

                                            여행을 합니다. 
                                        

                                  해발 516m의 불갑산, 꽃무릇뿐 아니라 멋진 단풍으로 가을 풍광을 즐길 수 있다.

                                      상사화로 더 알려진 백제불교 초전가람지 "불갑사"

                                  굴뚝마저도 정겹게 오는이들을 미소로 맞이하고 있는듯 하네요.

                                

                     유달초등학교에 보존중인 박제표본 불갑산 호랑이

                      실제 크기와 똑같이 만들어져 있는 모형 호랑이 입니다.

                            

                           보물 제830호 대웅전,

                 백제 침류왕원년(384년)인도승 마라난타존자께서 백제에 불교를 전파하기 위하여

                 법성포를 거쳐 이곳에 최초로 창건한 사찰로 정유재란시 소실된 후 다시 중건하였다.

                

                정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 다포계 건물로 매우 화려한 양식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문살은 삼분합 소슬 빗살문으로 연꽃, 국화꽃, 보리수 나무 무늬를 섬세하게

                      조각하여 우리 조상들의 예술성이 표현된 건축물이다.
                

                 괘불지주에는 강희 49년(1710년)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불갑사에는 1710년경에 조성된 큰 괘불이 있었으나, 용천사에서 빌려다

                   사용하던 중에 6.25동란 때 용천사가 소실되면서 애석하게도 함께

                        불타 없어졌다고 해요.

                          

                    초 가을로 접어드는가 싶더니 갑자기 폭염의 날씨로

                   푹푹찌는 날씨였지만 하늘에 둥실 떠다니는 푸른 구름들이

                         아름다워 용서 하기로 한 이곳 여행지...

                    눈에 띄는곳마다 한폭의 그림 같았습니다.

                   오년은 젊어진다는 약수물 바로 떠 마셔 보았답니다.

                      

                불갑산에는 늦여름에서 초가을에 걸쳐 상사화가 만개한다.
              상사화는 잎이 진 후에 꽃이 피고 꽃이 진 후에 잎이 나기 때문에

             잎과 꽃이 서로 만나지 못하고 그리워만 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어둠속에 한줄기 빛을 뿜어내듯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고 있는 상사화, 꽃무릅

                             9월 23일부터 25일까지 불갑사지구 관광단지 일원에서 사흘간 축제가 열려

                        다양한 문화 행사와 체험 행사가 마련될 예정이랍니다. 

                          상사화는 따로 소개해 올릴께요.

                                         

                  1909년에 쓴 〈불갑사창설유서 佛甲寺創設由緖〉에 의하면

                   인도승이었던 마라난타(摩羅難陀)가 백제 침류왕 원년(384년)에

                  제일 처음 지은 불법 도량이라 해서 절 이름을 "불갑사"라 지었다고 전해진다.

              

 

                        현재의 팔상전은 1822년 3중창된 건물로서 정면 3칸의 맞배 지붕이며,  
                         여기에는 석가모니불주존을 중심으로 16나한을 봉안하고 있다.

                        

                         명부전은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도명존자, 무독귀왕, 사왕과 판관, 녹사,

                               수문장 등을 봉안한 건물이다.
                       본래 위치는 대웅전 좌측이었으나, 1936년 만암스님에 의하여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각진국사 자운탑 뒷편에 있는 향로전의 모습입니다.

                   적당히 그늘을 만들어 주고있는 백일홍나무가 아름답게 휘어져 자리를 히고 있으며,

                      안으로 들어가는 문에는 특이 하게도 거북이모양의 문양이 달려 있었다.

                                                  

                                        각진국사 자운탑은 1355년에 조성된 고려 후기 작품이다.

                                     각진국사는 고려말 충정왕, 공민왕대의 왕사였으며 송광사 16국사 가운데

                                    한 분으로서, 만년에 불갑사에 주석하여 불갑사를 크게 중창하였다.
                                       

                 일광당은 정유재란시 소실된 후 1620년에 중건된 건물로서 본래 선당(禪堂)으로

                      쓰였으나 현재는 승당으로 사용되고 있다.
             구부러진 목재들을 꾸밈없이 다듬어 세움으로써 자연미를 살려 낸 훌륭한 건축물이다.

                          

                   향긋한 맛이 배어 나올듯 항아리속이 궁금해지는 장독대,

                  산사의 식구들을 책임져 줄 간장과 된장이 익어가고 있겠지요.

                          

                불갑사 대법고는 1741년에 만들어진 것으로서 길이 240㎝, 울림판 직경 200㎝,

                        높이 220㎝의 웅장한 규모를 자랑하는 큰북이다.

                     이것은 오래된 법고 가운데에서는 가장 크다고 한다.

                     

                    담 모퉁이를 돌아서니 불갑산 등산로와 저수지와 연결이 되더군요.

                     조금은 이른듯 아직 만개하지 않은 봉우리로 산책로에는

                            상사화가 온통 물결을 이루고 있답니다.

                     담주쯤이면 활짝 피어나지 않을까 싶네요.

                   

                  공사중이여서 보고오지 못한 사천왕상 지방 문화제59호,

                불갑사 사천왕상은 고창 연기사에 모셔져 있던 것으로서, 연기사가 폐사된 후

                 1870년(고종7년)설두대사에 의해 불갑사로 옮겨졌으며 조선중기에

                         조성되었다고 전해 내려온다.
                목조로서는 국내에서 제일 큰 거상으로 균형미가 뛰어나고 섬세하며,

                     화려한 조각솜씨를 보여준다고 한다.

                           

                   붉은 물결의 꽃무릅이 춤추는 모습을 기대하고 갔었는데,

                  조금은 아쉬움을 남기고 돌아서서 금강문을 되돌아 나왔습니다.

                  그래도 상사화를 만날수 있어 아름다운 여행이 되었습니다.

                     

                                            수령 700년 정도 된 참식나무

                                       주변 관광지: 백제불교 최초도래지, 백수 해안도로, 불갑수변공원,

                             

                              여행정보: 불갑사, 문의: 061-352-8097

                               위치: 전남 영광군 불갑면 모악리 8

                      홈페이지: http://www.bulgapsa.org/
 
                                  

 

                                                                                                   

                            오늘도 즐건날 되시고 추천댓글을 부탁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