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경기도여행

당일치기 서울근교 섬여행 모도 배미꾸미조각공원

해피송702 2011. 5. 7. 00:00

 

 

 

 

 

               당일치기로 떠나는 삼형제 섬중 막내격인 모도

                 

                     예전 시끌벅적한 여행을 떠났다면 이제 조용히 휴식을 겸한

                         여행지를 찾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천천히 느리게 풍경이

                                  아름다운 장소를 뒤적여 본다.

                  

                   인천대교를 달려 연종IC 요금소에 도착하면  인천대교 기념관이

                        지상4층 연면적 1천284㎡ 규모로 세워져 전시실과 영상관,

                               뮤지엄카페, 전망대 등을 갖추고 있다.
                  잠시 차를 멈추고 국내 최장 교량인 인천대교의 건설과정과 첨단 공법등

                         전망대에 올라  송도국제도시와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를

                            바다위로 연결하는 인천대교의 경관을 조망해  보았습니다.

                               

                 서울 근교라고 해도 무방한 인천 영종대로를 달려 삼목항에 도달한 울 일행,

                        아뿔사 친구 한사람이 미처 도착을 못해 다음배를 기다려야  합니다.

                    1시간마다 한대씩 운행하는 여객선이지만 그리 불편하지는 않았다.

                           휴게실에서 컵라면을 먹고 오징어와 새우깡을 간식으로

                                        챙겨 넣었습니다.

                              

                                갈매기들과 떠나는 섬여행, 배를 타고 약20여분도 채 않돼어

                                           신도선착장에 도착 하였다.

                           삼형제 섬중에 막내격인 모도, 바닷가 초현실주의로 닥아오는 조각공원

                                 배미꾸미를 가기위해 벚꽃이 흐드러지게 핀 모도로를 달린다.

                            찰랑찰랑 파도치는 물결을 보고 싶었는데 어느새 바닷물은 다 빠져 나가고

                                  갯벌이 들어난 위로 조그만 무언가들이 기어 다니고 있어요.

                                    

                           물건너 산등성이에는 연예인 박상원의 별장이 있다는데...

                         

                      모도는 신석기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고려때부터

                                 조선시대까지 강화도호부에 속해 있었다.
                     1895년 갑오개혁에 의하여 강화군 제도면에 소속되었으며 부천군 북도면의

                       1개 법정리가 되어 북도면의 신설 면사무소를 처음으로 모도에 설치하였다.

                                               

                              유난히도 기온차가 심했던 올해, 한창 예쁘게 피어 있어야 하는

                                 벚꽃들이 푸른잎들과 뒤엉켜 막바지에 이르고 있고,

                        먼산에는 붉은 진달래가 피기 시작 하였고 가로수로 개나리가 한창입니다.

                                 

                             일명 벚꽃 섬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구봉산은 약 7천300여

                                 그루의 산 벚나무가 벚꽃동산을 이루고 있답니다.

                                        

                         삼형제 섬가운데 규모가 작은 막내격인 모도의 배미꾸미해변에는

                                    멋진 조각공원이 들어서 있다.

                         조각가 이일호씨의 작업장 구실을 하는 인천시 옹진군에 있는 모도

                          배미꾸미 조각공원은 현대작가 이일호씨가 작업공간으로

                     앞마당에 작품을 하나 둘 전시한 것이 점점 늘어나면서 조각공원이 돼었다.

                                   

                        입장료는 1000원인 조각공원, 부부애를 나타내고 있는지 바다를 향한

                                     모습은 생각에 잠기어 있는듯 하군요.

                        눈길닿는곳마다 약간...으흠~ 팬션도 함께 있어 숙박도 가능 하였습니다.

                               

                                            조용한 해변가에 벚꽃이 한층더 조각상들을 빛내고 있었으며

                                             산책하는 나에게 마음의 안정을 찾아 주네요.

                                         연인 또는 가족끼리 함께 할수있는 볼거리, 먹거리가 다양해

                                                  추억을 담아 봄직도 합니다. 

                                           

                                  모도 해변을 따라 오다보면 배미꾸미란 해변이 있다.

                             '배미꾸미란' 배의 밑바닥 부분을 가리키는 말로 섬이 배의

                                         밑바닥을 닮았다고 불려진다고 하네요.

                                   

                                            물이 빠지면 백합과 낙지등이 많이 잡힌다나요.

                                              조각공원 입장료는 1000원 이랍니다.

                                             

                            손이 의미하는것은~ 아래 작품은 천국의 계단이라고 합니다.

 

                         모도는 가장 작은 섬으로 1875년 경 김포군 통진에 살던 차영선이 조업 중

                             이곳에 정착해 고기잡이를 할 때 고기는 잡히지 않고 띠만 걸려

                                  ‘띠 모(茅)’자를 써서 모도라고 불렀다고 전해 집니다.
                    

                                   신도선착장에서 세 개의 섬을 순환하는 버스가 다닌다.

                            요즘 자전거를 싣고 섬에 와서 라운딩을 즐기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는데,

                                     섬 전체를 자전거를 타고 둘러 보는것도불망비, 좋을듯 합니다.

                             섬 세개가 다리로 연결되어 모두 돌아보면 약2시간30여분 걸린다고 해요.

 

                       배미꾸미 조각공원의 카페에 않아 은은히 퍼져 나가는 커피향을 머금고

                              베이글과 함께 잠시 여유를 부려 보았습니다.

                     

                                          도심을 조금만 벗어나 발길을 옮기면 해변의 이색 조각공원을

                                                만날 수 있는 초현실주의 작품 형태의 조각공원,

                                        커플들에게 인기가 많으며, 특히 사진 촬영지로 인기가 높다.

                                                       

                       길안내: 인천 옹진군 북도면 모도리 269-2 , 032-752-7215

                       교통: 북인천IC -> 영종대교기념관 -> 영종대교 하부도로 -> 인천공항고속도로 ->

                                영종도 북부해안도로 -> 삼목선착장-> 세종해운 배를 타고 -> 신도선착장 ->

                                시도 -> 모도 -> 배미꾸미 조각공원

                       

                               삼형제 섬중에 가장 큰섬, 신도는 옛부터 이 섬에 사는 주민들이

                             정직하고 신의가 두터워 다른 지역 사람들이 믿을 신(信)자를 넣어

                                         신도(信島)라고 불렀다고 전해 집니다.

                              

                            옹진군 북도면은 신도, 시도, 모도, 장봉도 4개 유인도와 아염도, 동만도,

                                      서만도등 무인도의 10개로 구성돼어 있다.

                          장봉도를 제외한 신도, 시도, 모도 3개의 도서는 서로 제방으로 연결되어 있어

                          차량으로 이동하기가 편리하여 드라이브 코스로도 각광을 받는곳이기도 합니다.

                    

                      자그만 방죽에 일몰과 일출의 그림자가 드리울때면 반영이

                             환상적으로 닥아 온답니다.

                          

                                     배미꾸미 조각공원을 나와 논가의 방죽을 지나니 버스 정류장

                                      부근에 '불망비'가 서 있었습니다.

                      '모도 암행어사 불망비' 1880년경 경기도 지역의 암행어사의

                              배명을 받아 모도 주민들의 어려움을 해결해 준 이건창의 공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라고 합니다.

                                     

                         후세 사람들이 잊지 않도록 어떤 사실을 적어 세우는 비석.

                          무슨일을 겪었는지는 모르지만 지난번에 다녀 갔을때는

                                 두동강이가 나 있었답니다.

                                 

                          신,시,모도 해변에 들어서면 드라마 촬영을 연출 하였던, 슬픈연가와

                                 풀하우스의 집을 만나게 된다.

                         또한 염전이 있으며 구봉산의 트레킹은 정상에서 바다를

                                       한눈에 볼수있어 좋았습니다.

                                        

                             역시 인천 지역에는 조개 칼국수가 유명 하지요.

                        맛집이라는곳을 찾아 조개가 더 많이 들어있는 칼국수로 요기를 하였어요.

                           

                           신도 선착장에서 모도리까지 신시도 공영버스가 운행되고 있습니다.

                      

                            도심에서 가까운 삼형제의 작은섬에서 바다와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는

                               조각공원의 조각품을 감상하며 도심의 찌든 스트레스를 날려 버리고

                                        또다시 도심속으로 들어 간답니다.

                           여름이 오면 아름다운 해변이 있는 이곳에서 다시 찾게 될것 같군요.

                               

                         신도선착장으로 달려온 우린 삼목항으로 가는 배를 타려 한답니다.

                                    때마침 삼목항으로 나갈 배가 들어와 있군요.

                                  

                               여행팁: 삼목선착장 -> 신도 07:10 ~ 18:10 매 시각 10분

                                신도 -> 삼목선착장 07:30~ 18:30 매 시각 30분

                                홈페이지 http://www.sejonghaeun.com  ,  전화 032) 751-2211

                                도선료 (여객) : 대인 3,600원 / 소인 2,400원 / (차량) : 승용차 기준 20,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