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사찰,성당,교회

뜬구름도 쉬어가고픈 암자가 그곳에 있었다. 운부암

해피송702 2010. 8. 28. 19:08

 

 

 

                                           뜬 구름마저도 쉬어가고픈...

 

                          팔공산자락은 대구쪽에서 산행을 하였기에,

                         구비구비마다 눈에 선하다.

                         오늘은 영천에서 은해사를 지나 운부암을 가려한다.

                         졸졸졸 흐르는 물줄기가 이여지고, 세상사 찌든,

                         도심의 근심을 모두 내려 놓고픈 자연 그대로의 계곡은,

                         눈길을 돌리는곳 마다 천혜자연 경관 이였다. 

                        

                           은혜사에서 부터는 오르막 길이 좁아 대형버스를 버리고,

                           25인승으로 갈아탔다.

                          약 3,7Km를 오르니 떠다니는 구름마저도 쉬어 가고픈 암자가 거기 있었다.

                          앞에 흐르는 물줄기에 비치는 반영의 산사,

                          너무도 고요하니 편안함을 선사한다.

 

                         은해사에서 부터 운부암까지 오르는 길에는 눈길을 사로잡는 금송이 있었다.

                         물안개가 피어난다면 하는 아쉬움속에.....

                         자연의 냄새를 맡아본다. 후유~ 훗...

                         맑은 공기가 시원스레 내입가에 머문다.

 

                          운부암 보화루를 오르는 계단앞에 서니 사찰이라기 보다,

                          오래된 고택을 들어 서는듯 하다.

                                          단청을 하지 않은 목재 건물의 암자는 흐르는 세월에 씻기여,

                                          고풍스런 멋을 자아내고, 흐르는 물줄기는 여름철 한낮의

                                          열기를 시원케 해 주었다.

 

                             보화루 앞에는 두마리의 돌사자가 마주않아 있었다.    

 

                                             미로처럼 보화루 아래로 들어가는 법당,

                                             저 계단만 오르면 어떤 시름이든 다 잊을듯,

 

                         정진중 조용히 하세요.

                        영천시내에서 서쪽으로 19Km쯤 떨어진곳에 팔공산 동쪽 기슭에 은해사가 위치하고 있다.

                        신라 헌덕왕 원년(809)에 혜철국사가 이 곳 해안평에 창건하였고,

                        조선 명종 원년(1546) 에 천교화상이 이곳으로 이건 하여 은해사라 하였다.

                        이 사찰에는 거조암을 비롯하여 백흥암, 운부암, 중암암, 기기암 등 8개의 암자가 있으며,

                        거조암 영산전을 국보 제14호, 운부암 청동보살좌상은 보물 제514호,

                        그리고 백흥암 수미단과 극락전은 보물 제486호와 790호,

                        은해사 괘불탱화가 보물 제1270호로 각각 지정되어 있다.

 

                                              2층 보해루 누각을 오르니 맷돌위에 가지런히 놓인 찻잔,

                                              차 한잔 하시지요.

 

                        보화루를 지나 정면에 본전인 원통전(圓通殿)을 보게 된다.
                        이 원통전 내에는 보물 제514호인 청동관세음보살좌상이 모셔져 있다.

                        신라 헌덕왕 1년(809)에 혜철국사가 창건한 은해사의 운부암에 모셔진

                        금동보살좌상(金銅菩薩坐像), 보물 제991호, 보살상으로 불꽃무늬·꽃무늬·

                        극락조(極樂鳥) 등으로 장식한 화려한 관(冠)을 쓰고 있는

                        높이 1.02m의 아담한 작품이다.

 

                                쉿! 법당옆 담벽에 그려진 달마스님,

                                발걸음조차 옮기기가 조심스러워 키발을 딛고 걸어 보았다.

 

                              인기척이 하나도 없는 암자 앞마당을 지키고 있는건

                              누렁이와 잠자리, 그리고 목탁과 검정 고무신 한컬레,

 

                                      산신각,

 

 

                           운부암은 신라시대 711년 성덕왕 10년에 의상 스님이 창건하였다.

                           관음기도 도량으로 전승되어 오다가 1860년에 화재로 소실되자,

                           옹허스님과 침운스님이 중건 하였고 1900년에 보화루를 신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운부암(雲浮庵)은 팔공산 자락에 있는 은해사(銀海寺)의 부속 암자로,

                          절을 처음 지을 때 상서로운 구름이 하늘에 떴다하여 운부사로 이름지었다고 합니다.

                          그러다 후에 은해사가 규모가 커짐에 따라 은혜사의 산내 암자인

                          운부암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물속에 비치는 하얀 구름,

                                                떠도는 구름도 잠시 멈춰 있는양 물아래 깊이도 숨어 버렸답니다.

 

                                                분홍빛 베롱나무가 빛바랜 보화루 나무 기둥을

                                                화려하게 받춰주고 있었습니다.

                                                그곳에서 잠시나마 도심의 시름을 내려놓고,

                                                오던길을 되돌아 왔습니다.

 

                                                 길안내: 경북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479

 

                                  손가락 추천을 눌러 주실거죠. 아울러 구독댓글을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