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사찰,성당,교회

[안동]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봉정사 그리고 퇴계의 자취 명옥대

해피송702 2009. 12. 10. 05:36

                                          지나는 계절을 아쉬워 하는듯, 누군가 떨어진 낙엽을 모아

                                                  하트를 그려 놓았다.

                                            덩달아 사랑을 담아보듯 마음이 훈훈해 진다.

                                             차에서 내려 봉정사로 돌아가는 길은 약간 급경사로 보인다.

                                                   언제나 그렇듯이 처음 발걸음엔 헉헉대는 숨찬 목소리...

 

                           약간 급경사를 오르다보니 명옥대가 보인다.  조선 현종 6년(1665)에 퇴계 이황(1501∼1570)이

                                    후학들에게 도를 강의하던 자리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정자이다.

                            옛 이름은 ‘낙수대’였으나 육사형의 시 내용에 따라 ‘명옥대’로 바꿔 불렀다고 한다.

 

                       일주문은 사찰로 들어가는 첫째 문이다.  기둥이 한 줄로 되어 있는데서

                               유래되었지만 일심(一心)을 뜻한다고도 할 수 있다.

                         일주문 옆으로 지나니 누군가 말한다 일주문으로 통과해야 한다고...

                               다시 내려가 일주문을 통과하여, 웃음꽃과 함께 산사를

                          향해 걷는다. 여기서 부터는 거의 평지와 같아 수월하게 오를수 있다.

 

                         만세루, 누문은 대부분 이층으로 건축되며 아래층은 사찰의 중정으로 통하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하며, 윗층은 산사의 전망을 감상하거나 목어(木魚),

                           운판(雲版), 범종(梵鐘), 법고(法鼓)등을 걸 수 있는 종루(鐘樓)나

                                            고루(鼓樓)의 기능을 겸하기도 한다.

 

                                          이중 기단의 방형 삼층버석탑으로서 기단부에 비해 탑신부의 폭이 좁으며

                                           각층 높이의 체감이 적당한 반면 폭이 좁아, 처마의 반전이 약하다.

                                               상륜부는 노반 복발 앙화 부분은 있고, 나머지는 없어졌다.

                                             탑의 총 높이는 318cm이다.  고려시대 중엽에 조성된 탑으로 

                                                        유형문화재 제182호로 지정되어 있다.

 

                        각종 불교의식의 시작과 끝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사용하는데,

                                      봉정사는 범종만 달려있었다.

 

                      국보 제311호 대웅전,  조선시대 초기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는 건물이다.

 

                                               기둥위에 걸려있는 목탁이 햇빛에 비치어, 왠지 세상 시름들을 

                                                       모두 이루어 줄것같은 따뜻함이 전해진다.

 

                       봉정사는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스님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수행을 하던 능인스님이 도력으로 종이 봉황을 접어서 날리니,

                                        이곳에 와서 머물러 산문을 개산하고, 봉황이 머물렀다 하여,

                              봉황새 봉(鳳)자에 머무를 정(停)자를 따서 봉정사라 명명하였다.

 

                                        무량해회,  불사를 관리하고 강당, 선당에서 수행하는 모든 수행자들의

                                            의식주를 뒷받침해 주는 생활공간이며 휴식공간이다.

 

                          대웅전 뒤로 오래된 소나무들이 있어 한층  과묵함이 무게를 더하는듯 하다.

 

                      국보15호 극락전,  현존하는 우리 나라의 목조건축 중 가장 오래된 최고(最古)의 건물이다.

                             가공석 및 자연석으로 쌓은 기단 위에 정면 3칸, 측면 4칸의 맞배지붕과

                      주심포(柱心包)건물로 고려시대의 건물이지만 통일신라시대의 건축양식을 내포하고 있다.

 

                                         영산암 오르는 길에 고목은 계절의 무상함과 봄을 기다리는

                                                희망이 운치를 더한다.

 

                       봉정사의 요사인 무량해회에서 동쪽으로 약 100여 미터 떨어진 곳에 있는 영산암,

                            마당의 가장자리에 자그마한 동산을 만들어 기암괴석을 옮겨놓고, 그 위에 멋스럽게

                         휘어진 고목인 향나무와 관상수를 비롯하여 계절을 다투며,

                                         다양하게 피어나는 꽃나무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유난히 맑은 푸른하늘에 흰구름들이 조용한 산사를 애워싸고,

                                       거닐는 나를 뒤돌아보게 한다.

 

                                         산신(山神) 칠성(七聖) 독성(獨聖)을 함께 봉안하고 있는 당우(堂宇)이다.

                                              삼성은 각각 재물과 수명과 복을 관장하는 존재로서 전통신앙인

                                                    삼신신앙과의 습합현상을 살펴볼 수 있다.

                                              다녀 가는이 정성을 다하고, 돌탑을 쌓아 놓았다.

 

                            그다지 깊은 산속도 아니면서 조용하고 아늑해 보이는 봉정사,

                                    겨울채비를 하는 나무들도 눈에 거슬리지 않으니,

                                다시 와보고픈 고즈력한 산사이다.

 

                                            길안내:서울->중부고속도로->호법분기점->영동고속도로->여주->

                                 만종분기점->중앙고속도로->제천.단양.영주.예천->서안동IC->안동방향->봉정사

 

                              유익 하셨다면 추천을 꾹 눌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