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경기도여행

경기도가볼만한곳 세계문화유산 왕릉! 구리 동구릉 선조와 두왕비의 무덤 목릉

해피송702 2015. 5. 8. 05:00

 

 

 

 

                            경기도가볼만한곳

            세계문화유산 왕릉! 구리 동구릉

              선조와 두왕비의 무덤 목릉

 

          

                         서울의 동쪽 외곽 구리시 동구동에 위치한 동구릉은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무덤이 있는 왕릉으로 오후 잠시 시간을 내어 찾았습니다.

                         에그머니나!!! 어찌나 찾는 사람들이 많은지 주차장은 빼곡히 순서를

                                         기다리는 차로 꼬리를 물고 있었네요.

                           할수없이 되돌아 집으로 돌아온후, 다음날 일찌감치 다시 찾았답니다.

                                  재실을 지나 안쪽으로 난 길을 따라 동구릉을 모두 돌아

                                               볼셈으로 발길을 재촉 합니다.

            

 

                           주차비(2,000원)와 입장료(1,000원)를 내고 입구에서 동구릉 안내 지도를

                                      받아 동구릉의 대략적인 배치를 살펴 보았지요.

                  *동구릉 추천 관람코스: 매표소-재실-수릉-현릉-건원릉-목릉-휘릉-원릉-경릉

                      -혜릉-숭릉-동구릉역사문화관-매표소 순으로 오른쪽으로 한바퀴 돌기로 합니다.

                                  하지만 휴식년제를 적용하여 동구릉중에 목릉만이 능위에 올라

                                                   자세한 구조를 볼수 있다고 하네요.

                            해서 능위에 올라 사진을 찍을수 있었던 목릉부터 소개하기로 합니다.

        

                 

                                   목릉으로 진입하는 길 옆으로는 서어나무 군락지가

                                             자리하고 있어 정취를 돋운다.

     

        

                                        다른곳의 릉과 달리 넓은 잔디밭 공원을 연상케하는

                                                   목릉 홍살문앞에 섰습니다.

                                 좌측에 정자각 뒤로 조선 제14대 선조와 의인왕후 박씨,

                                          우측으로 계비 인목왕후 김씨 세 사람이 잠들어 있다.

 

                                     

                             신도와 어도의 굴절된 참도를 따라 정자각으로 향합니다.

                        정자각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수라방이 있고 오른쪽엔 비각이 있다.

 

                       

                                            ▲ 구리 동구릉 목릉 정자각, 보물 제1743호

                             광해군 즉위년(1608)에 건원릉 서쪽에 조성되었다가 지세가 좋지 않다는

                   풍수가의 견해와 터에 물이 차는 등의 이유로 인조8년(1630) 건원릉 동쪽으로 천장되었다.

                         천장 이후에도 여러 차례 건물 수리가 있었지만 건물 자체에 손을 댄 기록은

                             보이지 않으며, 고종16년(1879)에 계단석을 고쳤다는 기록이 있다.

                 

 

                                  정자각의 기단은 직사각(장방)형으로 정전이 배위청보다

                              약간 높으며, 정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겹처마의 맞배지붕으로,

                                   지붕의 무게를 기둥으로 전달하는 공포는 다포 양식입니다. 

                         다포 양식은 기둥 위에만 공포를 설치하는 주심포 양식과는 달리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만들어서 끼워 넣는 양식이다.

                                           그래서 처마 부분이 보다 웅장하고 화려하게 보인다.       

                 

             

                              고려 후기에 들어온 건축 양식으로 조선 왕릉 가운데 이곳의

                                     정자각만 유일하게 다포 양식의 건물이입니다.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문묘 대성전과 유사하며, 배위청은 정면1칸 측면2칸이다.  

                 조선왕릉 정자각 가운데 유일한 다포형식의 건물로 살미의 형태나 구조가 장식화 되기

                          이전의 전기적 모습을 유지하고 있어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크다.

 

      

                                                           ▲ 선조대왕 목릉 비각과 비석

    

             

                                                                    선조대왕 목릉 비문

 

    

                                                 ▲ 제례 음식을 준비하는 수라방

 

          

                                                           ▲ 조개나물

                                동구릉에 들어 서는 순간부터 마치 수목원에 온것처럼 특별한

                                      야생화에서 부터 다양한 수목들을 만나게 됩니다.

                         그래서 예전 야생화카페에서 이곳에서 꽃과 수목을 공부한적도 있었네요.

                                  한발자욱 옮길때마다 꽃들에 눈을 떼지 못하고 망설여지지만,

                             9개의 릉을 다 돌아 보려니 대강 돌았어도 3시간여 걸렸네요.

                                    릉위에 올랐다면 더욱 많은 시간이 소요 되었겠지만...

                      

                    

                                                     ▲ 조선 제14대 선조의 능 목릉

                               선조(1552~1608)는 중종의 일곱째 아들인 덕흥대원군의 셋째 아들로

                                        1567년 명종이 후사 없이 죽게 되자 왕위에 올랐다.

  

 

                                선조의 능에는 3면의 곡장이 둘러져 있고, 병풍석에는

                                    십이지신상과 구름무늬가 조각되어 있으며,

                     난간석과 혼유석, 망주석 1쌍과 석양, 석호 2쌍이 배치되어 전형적인

                                         상설의 양식을 취하고 있다.

 

                       

                                              ▷ 세계유산 조선왕릉!

                       조선왕릉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왕릉 가운데 가장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는 고유의 유적이다.

          왕릉 개개의 완전성은 물론이고 한 시대의 왕조를 이끌었던 역대 왕과 왕비에 대한 왕릉이

                           모두 보존되어 있다는 점에서 더욱 큰 가치를 지닌다.

                 1392년 고려 왕조가 막을 내리고 탄생한 조선 왕조는 이후 1910년까지

                                무려 519년이라는 장구한 세월을 이어갔다.

                     이처럼 하나의 왕조가 500년 이상 지속된 것은 매우 보기 드문 유례이다.

           이러한 유구한 역사를 가진 조선 왕조에는 27대 왕과 왕비 및 추존왕과 왕비가 있는데,

                                     이 왕족의 무덤을 조선왕릉이라 한다.

 

                인류의 문화유산으로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라 2009년 6월 30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519년의 역사를 지닌 조선은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아 조상에 대한 존경과 숭모를

                           매우 중요한 가치로 여겨 역대 왕과 왕비의 능을 엄격히 관리하였다.

            그리하여 42기의 능 어느 하나도 훼손되거나 인멸되지 않고 모두 제자리에 완전하게 보전되었다.

                      조선왕릉은 우리의 전통문화를 담은 독특한 건축양식과 아름다운 자연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600여 년 전의 제례가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살아있는 문화유산이다.

 

       

                                   무덤의 병풍석에는 십이지신상과 구름무늬가 조각돼 있고,

                                        난간석 기둥에는 연꽃 봉오리가 조각되어 있습니다.

 

           

                                                           선조 능 뒤에서 본 모습

 

 

                          ▷ 구리 동구릉(九里 東九陵), 사적 제193호(1970년5월26일 지정)

                               /유네스코 세계유산(2009년6월30일 지정) 면적:1,969,675㎡

           조선을 세운 태조의 무덤으로 쓰여지기 시작한 뒤 조선시대를 통하여 가족무덤을 이루고 있는 왕릉군이다.

                   동구릉이란 도성의 동쪽에 있는 9개의 무덤이란 의미로, 무덤이 생길 때 마다 동오릉,

             동칠릉이라 불렀는데 철종6년(1855)에 수릉이 옮겨진 이후 동구릉으로 굳어졌다.

                         태조가 죽은 뒤 태종은 서울 가까운 곳에 후손들이 묻힐 좋은 땅을 찾다가 하륜에 의해

                                        이곳을 무덤지역으로 정하였다고 한다.

        400여 년에 걸쳐 왕릉이 자리잡았음은 동구릉의 지세가 풍수지리설에 의한 명당임을 나타내주는 것이라 하겠다.

      

                   동구릉에는 1대 태조의 건원릉을 중심으로 5대 문종과 현덕왕후의 무덤인 현릉,

          14대 선조와 의인왕후, 계비 인목왕후의 무덤인 목릉, 16대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의 무덤인 원릉,

               18대 현종과 명성왕후의 무덤인 숭릉, 20대 경종의 비 단의왕후의 무덤인 혜릉,

                   21대 영조와 계비 정순왕후의 무덤인 원릉, 추존 문조대왕과 신정왕후의 무덤인 수릉,

                         24대 헌종과 효현왕후, 계비 효정왕후의 무덤인 경릉 등 9개의 무덤이 있다.

       태조의 무덤인 건원릉은 고려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을 기본으로 삼아서 만들었으며, 조선왕조 최초의

                                왕릉으로서 이후 왕릉의 본보기가 되었다.

    

          동구릉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서 왕릉이 변화하는 과정을 살필 수 있다. 무덤을 만들 때 각 무덤에 따른

      제사를 지내는 공간인 재실을 지었다고 하나 현재 각 무덤에 제실은 없고, 9개의 무덤을 하나의 경계지역으로

                                                       하여 구릉 남쪽에 재실이 있다.

       전체적인 모습은 중앙 북쪽의 건원릉을 중심으로 동쪽에 3개, 서쪽에 5개의 무덤을 거느리고 있는 모습이다.

                     조선의 왕릉 중 한 지역내에 왕릉군을 이루고 있는 곳은 서오릉과 서삼릉이 있으나,

                                            동구릉에 가장 많은 무덤이 있다.

 

            

                                                                   ▲ 각시붓꽃

                            

 

                                               ▲ 선조의 원비 의인왕후 박씨의 무덤

                            의인왕후(1555 ~ 1600)는 반성부원군 박응순의 딸로, 15세에 왕비로

                                   책봉되었느나 의인왕후는 불행하게도 아이를 낳지 못하고,

                             후궁 공빈 김씨(1553~1577)의 소생인 광해군을 양자로 삼았다.

 

                        

                                   의인왕후릉은 병풍석이 생략된 채 난간석만 둘러져 있다.

                           임진왜란을 치룬 후 능을 조성했기 때문에 석물들의 크기만 클 뿐

                                           사실적이지도 입체적이지도 못하다.

                         그러나 망주석과 장명등 대석에 새겨진 꽃무늬는 처음 선보인 양식으로

                     인조 장릉의 병풍석에까지 새겨지는 등 조선왕릉 조영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의인왕후 릉 뒤에서 바라본 능

 

          

                                    목릉의 능역은 원래 선조33년(1600) 의인왕후 박씨가 승하하자

                                                 왕비릉인 유릉의 터로 정해진 곳이다.

                          광해군원년(1608) 선조 승하 후 선조의 능인 목릉은 원래 건원릉의 서편에

                              조영되었는데, 물기가 차고 터가 좋지 않다는 심명세의 상소에 따라

                 인조8년(1630) 현 위치로 천장되고 유릉과 목릉의 능호를 합칭하여 목릉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 후 인조10년(1632)에 선조의 계비 인목대비가 세상을 떠나자 계비의 능을

                               왕릉의 동편 언덕에 조영하게 되어 오늘날의 세 능을 이루게 되었다.

                        따라서 정자각도 의인왕후 무덤 앞에 있던 것을 헐고 왕릉 앞에 다시 세우게 되었다.

    

           

 

 

                                                                     ▲  애기나리

                                         목릉까지 오기까지는 이미 수릉과 현릉을 거쳐 선조능과

                                                 의인왕후 무덤을 오르락 내리락 거렸더니 흐르는 땀과

                                                           피로가 쉬이 몰려왔다.

                                       화려하게 눈앞에 펼쳐진 야생화 앞에서 잠시 쉬어 가도록 하였지요.

                                             커피도 마시고 초코렛과 빵으로 힘을 북돋아 다시 힘차게

                                                     다음 능으로 출발 하였답니다.

      

      

                                    정자각에서 선조릉, 의인왕후릉, 인목왕후릉으로 각각 뻗으며

                              꺾이고, 층이 생기기도 한 지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성된 신도를 따라

                                                   인목왕후 무덤으로 향합니다.

                                

            

                                                       ▲ 인목왕후 김씨의 무덤

                          인목왕후(1584~1632)는 김제남의 딸로, 의인왕후가 사망한 뒤

                              19세의 나이에 왕비로 간택되었으며, 정명공주와 영창대군을 낳았고,

                    광해군이 즉위하면서, 역모를 구실로 김제남은 사사되고 영창대군도 폐서인된 뒤

                                      죽음을 당하고 그녀도 폐비가 된다.

                          인조반정으로 대왕대비가 되었지만 49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하였다.

        

            

                                   

 

                 

                                                인목왕후릉에 서 있는 문무인석

                          인목왕후릉은 의인왕후릉과 비슷한 형식으로, 병풍석이 생략된 채

                                      난간석과 혼유석·망주석 등의 석물이 있다.
   

                    

       

 

      

                                              인목왕후릉 뒤에서 바라본 능

 

                     

                                                   ▷ 조선왕릉의 분포

                        조선 왕족의 무덤은 모두 119기에 이르며, 이 가운데 능이 42기이고,

                                           원이 13기이며, 묘가 64기이다.

                          조선 왕족의 무덤은 무덤 주인의 신분에 따라 그 명칭을 달리하는데

                   능(陵)은 왕과 왕비의 무덤, 원(園)은 왕세자와 왕세자빈 또는 왕의 사친의 무덤,

                               그 외 왕족의 무덤은 일반인의 무덤처럼 묘(墓)라고 한다.

                    

                        42기의 능 가운데 북한 개성에 있는 제릉(태조 원비 신의왕후의 능),

                           후릉(정종과 정안왕후의 능)을 제외한 40기의 능이 남한에 있다.

             남한에 위치한 40기의 왕릉 중 강원도 영월에 위치한 장릉(단종의 능)을 제외한 39기의 능이

                                  서울과 경기도 일원에 자리를 하고 있다.

                 500년이 넘는 한 왕조의 무덤이 이처럼 온전하게 보전되어 있는 것은 세계에

                            그 유래를 찾기 힘들며 문화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목릉을 돌아본뒤 길 양옆으로 핀 야생화와 눈을 맞추며 아주

                                       작은 도랑을 사이에 두고 길이 이어지는 건원릉으로 향합니다.

                            계속 이어질 동구릉의 다른 능을 돌아 보는 산책로는 숲길로 신선한 공기와

                                     향기를 불어넣는 꽃과 나무들이 마음을 편안하게 힐링되는

                                                세계문화유산 왕릉 길이었답니다.

                                   작은 바람에 흔들리는 사그락거리는 나뭇잎 소리가 좋다.

      

             

                           여행팁: 동구릉

                                      소 재  지: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197번지

                                      관람시간 : 매주 월요일 휴관,

                                      관람요금 : 어른(19~64세) \1,000

                                      문의(조선왕릉 동부지구관리소) : T.031)563-2909, 564-2909

                                      교통안내 : - 청량리역, 상봉역(88번, 220번 버스)-구리시- 동구릉 하차

                                                      - 강변역(1번, 1-1번, 1-2번, 92번 버스)-구리시-동구릉 하차

                                                      - 중앙선 구리역(마을버스 2번, 6번 버스)-구리시-동구릉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