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골목여행 거리연극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서상돈고택
골목길은 어릴적 추억과 삶의 애환을 떠올리게 하는
먼 고향길같은 편안함이 묻어나는곳입니다.
세상의 뒤안길에는 무슨일이 일어 났을까?
아련한 추억속을 헤집고 편안한 발걸음으로 둘러보는
'대구 근대골목여행,에서 맨 먼저 만난
일제 강점기의 저항시인인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거리연극으로 첫여행을 시작하였습니다.
대구 근대골목투어 2코스의 이상화, 서상돈 고택앞에는
4월~10월까지 매주 토요일에 약40분간 역사의현장
거리연극이 공연되고 있답니다.
고무줄 놀이를 하는 평온한 분위기의 시민들의 삶을 전개해 나가는
첫장의 거리연극은, 일제에 나라를 빼앗겼던을사늑약 체결과
3.1만세운동과 서상돈 선생의 국채보상운동, 민족시인이상화의
이야기가 차례로 펼쳐졌네요.
학생이 제기차는 모습이 즐겁기만 한 가운데, 많은 출연진들이
수고하시지만, 일반인을 즉석으로 출연시켜 함께
참여 하도록 하여, 연극이 아닌 실제 삶으로 빠져 들기에
충분하였던 시간이지 않았나 싶어집니다.
제1탄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일제가 을사늑약 체결을 강압하는 현장,
1905년 일본이 대한제국을 강압으로 조약을 체결, 외교권박탈과
통감부 설치 등 이조약으로 명목상으로는 '보호'라지만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던 을사늑약(을사조약)입니다.
대구문화재단은 문화도시운동인 ‘옛골목은 살아있다’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는데, ‘청라언덕과 ‘향촌동 소야곡’이
앞서 선보여 3여년부터 관람객을 불러모으며
근대골목 히트 공연으로 자리를 잡았다.
속셈이 있었던 일본인들의 돈이 마구 풀려나가고.....
이상화(李相和 1901~1943)의 호는 상화(尙火), 대구에서 출생하였으며,
1915년 한문 수학 후 상경해 중앙학교에 입학, 1918년 3월 25일에
수료하며, 1922년 현진건의 소개로 ‘백조(白潮)’ 창간호에 시 ‘말세의 희탄’ 등을
발표, 이후 도일해 아테네 프랑세에 입학, 1923년 3월 수료했다.
그러나 9월에 일어난 관동대지진에서 본 일본인의 조선인 학살에
분노해 귀국하였다고 합니다.
서상돈 선생의 국채보상운동
1907년 일본으로 부터 국권을 찾고자 서상돈선생이
국민의 모금으로 빛을 갚자는 국채 보상운동을 벌인다.
남자들은 담배를 끓고, 여자들은 패물을 모으는데,
"국채보상운동"은 대구에서 처음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산되었다고 한다.
3.1만세운동
1919년 계성학교, 신명학교 학생들이 조선 독립운동을 외치고,
나라를 되찾기 위한 3.1 독립운동은 남.녀, 빈부, 귀천, 지역, 문벌,
학벌등을 초월한채 자주 자립을 절규한 민중운동으로 우리민족의
단합 결속된 민족을 엿볼수 있게 해 주었다.
서산돈은 조선 고종때의 민족운동가이다.
서상돈(徐相敦 또는 徐相燉, 1851년-1913년 6월30일)은 조선 및
대한재국의 기업인, 공무원으로,
대구에서 지물(紙物) 행상과 포목상으로 성공한 인물로,
정부의 검세관(檢稅官)이 되어 정부의 조세곡을 관리하기도 하였다.
1907년에 대한제국 정부가 일본 빚을 많이 져 국권을 상실한다고 생각하여
대구 광문사 사장인 김광제(金光濟)와 함께 대구에서 금연으로 나라의 빚을
갚자는 국채보상회를 조직하고 국채보상운동을 벌였다.
태극기 높이 들고 '대한독립 만세'를 목청껏 외치는데.....
나라를 찾는 국민들의 많은 목숨을 잃었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
지금은 남의 땅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는 온 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 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
내 맘에는 내 혼자 온 것 같지를 않구나.
네가 끌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답워라 말을 해다오.
바람은 내 귀에 속삭이며
한자욱도 섰지 마라 옷자락을 흔들고
종다리는 울타리 너머 아가씨같이 구름 뒤에서 반갑다 웃네.
고맙게 잘 자란 보리밭아
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던 고운 비로
너는 삼단같은 머리털을 감았구나, 내 머리조차 가뿐하다.
혼자라도 가쁘게 나가자.
마른 논을 안고 도는 착한 도랑이 젖먹이 달래는 노래를 하고
제 혼자 어깨춤만 추고 가네.
나비 제비야 깝치지 마라, 맨드라미 들마꽃에도 인사를 해야지.
아주까리 기름 바른 이가 지심 매던 그 들이라 다 보고 싶다.
내 손에 호미를 쥐어다오.
살진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을
발목이 시리도록 밟아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강가에 나온 아이와 같이
짬도 모르고 끝도 없이 닫는 내 혼아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가느냐, 웃어웁다, 답을 하려무나.
나는 온 몸에 풋내를 띠고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로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령이 지폈나 보다.
그러나 지금은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죽은 영혼을 달래는 살풀이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1927년 민족시인 이상화가 대구로 돌아와 식민지 시대를
조국의 말과 글로써 밝힙니다.
마흔둘의 짧은 삶을 살았지만, 강한 민족의식을 품고 고뇌와 저항으로
일관하였던 그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신인에게', '통곡'.
'역천', '나는 해를 먹었다' 등 일제치하에서의 울분과 통곡으로
쓰여졌으며, 국민들에 힘을 북돋우고 나라를 되찾는
원동력이 되었다고 한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연극은 2009년부터 시작하여,
2014년 9월 3일 오전 8시30분 독도 선착장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연극이 끝나고 해방의 기쁨을 관중들과 함께 나누었습니다.
어린 아이들도 무척 즐거워 하더군요.
연극 끝으로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께 묵념으로
마지막을 장식하였습니다.
어린아이, 부모님, 좋은사람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 관람하면
뜻깊은 시간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답니다.
연극후에 출연진들과 함께 기념!!! 포토시간이 주어진답니다.
멀리에서 오신 학생 여러분! 계속 즐거운 시간되셔요.
여행정보: 대구 중구 계산동2가 84-1번지
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dgfc.or.kr
대구문화재단: 053-422-1210
지하철-1호선과 2호선 반월당역하차 18번 출구로
나와 계산오거리 방면으로 5분정도 걸으면 된다.
버스- 420, 840, 305, 405, 414, 609, 909, 북부2, 급행2, 급행3
'국내여행 > 대구시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가볼만한곳] 김광석의 음악세계를 엿볼 수 있는 벽화골목,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 (0) | 2014.10.21 |
---|---|
[대구여행] 허브향기 가득한 동화속 세상 대구 가볼만한곳 허브힐즈 (0) | 2014.10.16 |
[경상도여행 대구] 가을 여행 낭만과 그리움이 넘치는 대구로 떠나요 대구광역시 팸 (0) | 2014.10.09 |
[대구여행/팔공산여행] 100대 명산 팔공산 풍광을 조망할수 있는 팔공산 케이블카 (0) | 2013.12.10 |
[대구여행] 실제 사용한 유치장 체험관으로 견학인기 대구중부경찰서 경찰역사체험관 (0) | 2013.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