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사찰,성당,교회

섬 끝자락에 풍경소리 소박한 암자 송광암

해피송702 2012. 1. 14. 10:53

 

 

 

 

 

                  섬 끝자락에 풍경소리 소박한 암자 송광암

        

              섬? 예전에는 전남 고흥군 녹동(도양읍)에서 배를 20여분 타고 가다가

                  금진에서 내려 가야하는곳 이였지만 거금대교가 개통되면서 이제

                        섬 아닌 섬이 되어버린 거금도,

               송광암은 거금도(居金島) 금산면 어전리 (용두산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네이게이션만 믿고 가기앤 초행길이라 앞선 관광버스들을 따라 가다보면

                  좋은 풍경들이 있지 않을가 하고 뒤따라 보았지요.

               한참후 도착한 주자창에는 적대봉을 산행하기 위해 준비로 분주한 사람들이

                   어찌나 많은지 따라 올르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았네요.

                              

               산행은 다음을 미루고 좁은 산길을 따라 무작정 오르니, 사천왕 석상과 안내판이

                    있었지만 쌍갈래 길을 어느곳으로 올라야 하는지 조금 망설이는데

                휙~ 차한대가 위길을 오릅니다. 에이  가르켜 주고 가지...

             우린 아랫길을 택해 들어 가는데...큰차량은 주차장에 세우고 걷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윗길로 들어가 아랫길로 나와야 하는 길목 이었음 ㅎㅎㅎ

                                         

               몇년이나 되었을까 짐작도 않되는 거대한 고목이 제일먼저 반겨 주는군요.

               

                지금으로 부터 776년전 고려 신종 3년 서기 1209년 해동 불일보조국사

                        (海東佛日普照國師) 께서 창건하였다고 합니다.

                             

               전설에 의하면 국사께서는 모후산에 올라 터를 찾기 위하여 나무로

                조각한 새 세마리를 날려 보냈는데 한 마리는 송광사 국사전에,

                 한 마리는 여수 앞바다 금오도에, 한 마리는 금산 이곳 송광암에

                         앉았다고 하여 삼 송광이라 부른다고 해요. 
                 

                    다른곳과 다르게 전체적인 모습이 소박해보이는

                          부처님을 맞았습니다.

            

             사찰에 닿으면 시원한 약수 한모금은 들이키고 가야겠지요.

             

             적대봉의 변화무쌍한 정기와 용두산록에 은은히 울려퍼지는 송암모종(松庵慕鐘)

                  마를줄 모르는 감로수의 시원함 반야대의 장엄한 낙조는

              여기가 극락세계임을 실감케 한다는 문구가 사시사철 좋은 물이 흐르는듯 합니다.
                 

            한 겨울인데도 얼지않은 배추가 있어 깜짝 놀랐습니다.

               따뜻한 남쪽의 이곳 기후가 서울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군요.

                       

                     대한불교조계종 송광사의 말사로, ‘금산송광암연혁(錦山松廣庵沿革)’에

                   1200년(고려 신종 3) 보조국사가 창건하고, 1570년(선조 3) 선조국사가 다시

                       세웠다고 되어 있으나 정확한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1748년(영조 24) 치찬장로(致粲長老), 1796년(정조 20)과 1806년(순조 6) 양익

                    (良益)스님, 1856년(철종 7) 등천(燈天)·봉실(奉實)·이원(理元) 스님 등이

                         중창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산골 절집에 가마솥이 걸려 있는걸 보니 웬지 사찰이라기 보다

                      외갓집 마당에 들어선것 같았습니다.

                                      

                                                송광암에는 주법당인 극락전과 주지실 겸 요사로 쓰이는 청운당(靑雲堂),

                                                  니우선원(泥牛禪院) 등의 건물과 창건 이래 9번의 중창을 했음을 알리는

                                                         9창기적비, 석불좌상 등이 있다.

                                

                     축대위로 보이는 대웅전,

                

           대웅전 안에 건륭 연간(1736~1795)에 조성된 아미타삼존불도가 봉안된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에 불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극락전은 정면 3칸·측면 3칸 규모의 겹처마 맞배지붕집으로,

                    암자의 주법당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극락전내에는 삼존불상과 후불탱화·신중탱화·지장탱화·칠성탱화·

                   산신탱화 그리고 범종이 있다.

                                                          

              극락전에 봉안된 목조삼존불로, 조선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3기의 불상 모두 개금되어 있고, 본존불은 아미타불로 여겨지며,

              높이 67cm(불두 높이 24cm), 어깨 폭 32cm, 무릎 폭 47cm 크기이다.

           나발(螺髮; 소라 모양의 부처의 머리카락)에 육계(불상의 정수리에 상투처럼

           불룩 솟아 오른 부분)가 솟아 있다. 상호는 원만하며 목에 삼도(三道; 불상의

                           목에 새겨진 세 개의 주름)가 보인다.

 

             법의는 통견으로,‘U’자형으로 드리워져 있고 가슴에는‘一’자형의 띠가 보인다.

          아미타불의 수인(手印)인 구품인(九品印)을 결하고 있고, 오늘발이 왼발 위로

            올라오는 길상좌를 취하였다. 본존불 좌우에 배치된 2기의 협시불은 각각 높이

                     54cm로, 화려한 보관(寶冠)을 쓰고 있다. 

                                                          

                      법당안 가사만이 가지런히 스님의 자리를 대신하고 있었다.

                

 

               요사채를 겸한 선방인듯 하더군요. 

           

         몸이 고단한 도심에서 가끔은 탈출 하고플때가 있다.

            산길을 오르며 구슬땀을 흘리고 졸졸 흐르는 물 한바가지를

         마시고 나면 왠지 모든 시름이 다 가실것 같은때가 있다.

              자고 소박한 암자였지만 마음을 쉬이고 갑니다.

                                   

              여행정보: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금산면 어전리 (용두산자락) 74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