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경기도여행

주말 드라마 " 명가" 차인표와 한고은 촬영장을 엿보다

해피송702 2010. 2. 19. 01:13

 

                                           주말 드라마 " 명가" 촬영장을 엿보다

 

                                            한국 민속촌은 서울에서 그다지 멀지않은데도,

                                                 쉽게 가지 못하고, 이십오년여만에 여장을 챙겼다.

                                     명절 연휴가 끝난뒤라서 그런지 차는 그다지 밀리지가 않더군요.

                                                    도로들이 새로 뚫리고, 많이 바뀌어~

                                        ㅎㅎㅎ 잠시 헤매이다 하마터면 다시 고속도로로 들어 갈뻔 했네요.

                                        

                               민속촌에 들어서니 마침 KBS 1TV 주말 드라마, 토~일 밤 9시 40분 방송,

                                            차인표, 한고은, 김성민등이 출연하는 드라마 명가 

                                     

                                    촬영 준비에 눈에 익은 연예인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었습니다.

                                    

                                                     차 인표 (최국선)- 약간 그을린듯한 피부톤으로 분장한

                                                            모습에 엷은 미소를 머뭇고 있는 눈빛이, 사뭇

                                                        진지함을 가득 담겨져 있었습니다. 

 

                                    오른쪽 첫번째: 이 희도 (김자춘)- 최씨 가문의 마름.

                            그 지위를 이용해 사리사욕을 채우다가 최진립의 노여움을 사서 내쳐진다. 
                                      앙심을 품고 국선을 납치하려던 음모가 탄로나 야반도주,

                                                 한양에서 고리대로 신흥부호가 된다.

 

                                                  열심히 대본 연습을 하는 출연진들의 모습을 살짝 드려다 보는데,

                                                       뒤에 한분이 손을 들어 브이를 그려 보이십니다.

 

                                한 고은 (한단이)과 그의 몸종  - 집안의 종 상남의 여식으로 위장하고 경주로

                                    피난 왔다가 국선을 만난다. 국선과는 평생 이어질 수 없는 연인으로 안타까운

                                          사랑을 나누는 인물. 최국선의 정신적이자 실질적인 동반자로,

                                                 파란만장한 인생을 살아간다. 
                                             

                                       왼쪽:이 대로    오른쪽: 안 해숙( 동량처)

                                     국선의 어머니 병약한 몸이지만, 위기의 시대를 당당하게 극복해내고자

                                            노력하는 여성이며, 시아버지의 가르침을 아들 국선에게

                                                       이어주려고 항상 노력한다.

 

                                                     고 정민 (정씨부인),

                                             반가의 여식으로 국선에게 시집온 최씨 집안 며느리,

                                                   검소하고 반듯한 성격을 지녔으며,

                                          어떤 시련이 닥쳐도 꿋꿋하게 국선을 내조하는 외유내강의

                                                            여성으로 등장 인물.

 

 

                            400여년동안 12대 만석꾼을 배출, ‘노블리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

                                 몸소 실천한 경주 최부자 집안의 이야기를 담은 대하 드라마 "명가"

 

                                                 개구장이 같은 웃음으로 카메라 셧터를 향해주는

                                                         등장 인물, Tv보다 실제 인물이 더 좋으네요.

 

                                                   추운 날씨에 짚신안에는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비닐을 덧신고, 서로 분장을 도와가며

                                                         촬영 준비에 임하는 모습들이 넘 진지해 보였다.

 

                                                  연예인 이름을 잘 모르는 내게 눈익은 연예인 (이대로),

                                                        할아버지 역활에 많이 등장하는 구수하면서도,

                                                   인자한 목소리의 주인공, 깊게패인 주름살이 정겹게 다가왔다.

 

                                        모두들 자연스럽게 휴식하며 카메라 셧터에 게으치 않으며,

                                              포즈까지도 취해 주며, 함께 사진도 찍어 주는데,

                                                       명가의 관계자들이라고 해야하나?...

                                                            표정은 굳은채 막고 나선다.

                                                   조금 친절 하였으면 하는 바램이었습니다.

                        

                            한국 민속촌, 전통적 민속문화를 보전·전승하며, 조선시대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풍습과 생활양식을 재현해놓고 있다.

                                            관광자원 및 현장학습적 국민교육시설로 활용하기 위해

                                                    1974년 10월에 준공 하였다.

                           

                                        민속촌의 총면적 54만 5,490㎡로 기와집 132개동,

                                                     초가집 143개동이 있으며,

                                              2만 1,150여 점의 민속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민속촌의 입장료 12000원,

                                   다른 옛 민속마을이나 놀이공원보다도 가격이 비싼편이어서 넘 놀랬다.

                                            그러나 멀리 왔으니 그냥 되돌아 갈순없어 입장 하였는데,

                                                  그나마 드라마 촬영으로 관광 동선이 끓기는게

                                                                 많이 불편 하였답니다.

 

                                          김 선화(자춘처)- 마름 자춘의 부인으로 탐욕스럽고 자제할 줄을 모른다.

                                                 자춘이 공명첩을 사 양반 신분이 되고 아들 원일이 초시를 봐

                                        포도청 종사관까지 되자 세상에 두려울 것이 없는 다소 해학적인 인물이다.

 

                             촬영이 시작되니 관광객들의 대화와 움직임의 동선이

                                         중지 되었다. 외국 단체 관광객들이 관광 동선이 바뀜에 따라,

                                    황당하다는 웃음을 짓으며, 왜 그렇게 까지 해야 하냐는 항의가 일었다.

                                

                                           지나면서 드라마 촬영을 직접 볼수 있는점과

                                   연예인을 만날수 있다는 점은 있지만, 촬영을 하면서도

                                        관광객들의 배려도 함께 있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관아의 정문은 누삼문으로 되어있으며, 좌우에 행랑이 연결되어 있다.

                                     특히 좌측의 행랑은 상평창으로서 오늘날 정부물자를 조달하는

                                            창고 같은 기능을 갖고 있었으며,

                                     오른쪽 행랑은 관아의 나졸들이 기거하며 집무를 보던 곳이다.
                                      

                                       관아는 지방행정을 담당하던 관원들이 모여서 공무를 보던

                                             조선시대의 관공서로서 이 관아는 경기도 용인지방의

                                        옛 행정구역이었던 용구현관아를 복원한것 입니다.

 

                                                   길안내: 용인시 기흥읍 보라동, 031-288-0000,

                                                경부고속도- 수원 나들목을 나와 바로 만나는 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조금 가면 신갈오거리가 나옵니다.

                                                 신갈오거리에서 기흥, 오산 방향으로 우회전하여 가다가,

                                                     한국민속촌 이정표를 따라 좌회전해 들어가면 됩니다.

                                                   

                                                       관련 홈페이지: www.koreanfolk.co.kr

  

                                유익 하시면 "숫자 버튼"을 꾹꾹 눌러 주시고,

                                        제 블로그가 맘에 드셨다면 "구독" 해 주세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