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안동] 학문을 닦던 서원의건축 병산서원과 장승깎는 목석원

해피송702 2009. 12. 15. 15:36

                            계속되는 비에 우산을 지니고 다녀야 하는 번거름이 이만저만 아니다.

                               서원으로 들어가는 정문으로 "이곳에 들어가기전에 예를 지킨다"라는

                                       뜻을 지닌 복례문을 들어선다.

 

                                            만대루(晩對樓)는 마당을 사이에 두고 입교당(강당)과 마주보고,

                               유생들의 행사때의 한자리에 모였던 대강당의 역활을 하였다.

                           만대루의 만대는 두보의 시 (백제성루)에 나오는

                         "푸른 절벽은 오후늦게 대할만하니"에서 따온말이라고 한다.

 

                       서애 유성룡의 학문과 업적을 기리기 위한 곳으로, 안동에서 서남쪽으로

                            낙동강 상류가 굽이치는 곳에 화산(花山)을 등지고 자리하고 있다.

                          유성룡은 도학·글씨·문장·덕행으로 이름을 날렸을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때에도 성곽 수축·화기제작을 비롯하여 군비확충에

                          힘써 많은 공을 세운 인물이다.

                    원래 풍악서당으로 풍산 유씨의 교육기관 이었는데, 유성룡이 선조 5년(1572)에

                       이곳으로 옮겼다. 그 후 광해군 6년(1614)에 존덕사를 세워 그의 위패를 모시고,

                            1629년에 그의 셋째 아들 유진의 위패를 추가로 모셨다.

                     철종 14년(1863)에는 임금으로부터 ‘병산’이라는 이름을 받아 서원이 되었다.

 

                                 빗물에 젖어있는 기와 사이로 보이는 병산서원 건물들의 전경,

                             

                      만대루에 올라서니 낙동강을 향해 주변 경치가 한눈에 들어온다.

                           바가 내리니 앞산에 하얀 구름으로 드리운다.

 

 

 

 

 

                        병산서원은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을 담당해 많은 학자를 배출한 곳으로,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에도 남아 있었던 47개의 서원 중 하나이며,

                               한국 건축사에 있어서도 중요한 유적이다.

 

                         서원안 존덕사에 위패를 모시고 학덕을 이어받고 추모하여 향사(제사)를

                          올리던 서원, 지금도 제사가 이어지고 있다.

 

                     동재와 서재가 입교당과 만대루 사이의 마당을 가운데로 하고 동쪽과 서쪽에서 마주하고 있다.
                             유생들의 기숙사였던 두 건물은 똑같이 크고 작은 2개의 방과

                     가운데 1칸 마루로 구성되었다. 강당쪽의 작은 방은 학생회장격인 유사(有司)의

                            독방이거나 서적을 보관하는 장서실이다. 
                                 2칸 규모의 큰 방은 학생들이 단체로 기거하는 방이었다.

                 좌고우저(左高右低)의 원리를 쫓아 동재에는 상급생들이, 서재에는 하급생들이 기거하였다.

 

                           사적 제 26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서애 선생의 문집을 비롯하여,

                                각종 문헌 1,000여 종 3,000여 책이 소장되어 있다.

 

                    전사청은 사당에 올릴 제수를 준비하는 곳으로 사당과 한 울타리 안에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병산서원의 경우에는 전사청과 사당이 각각 독립된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다.

 

                     만대루와 복례문 사이에 물길을 끌어 들여 만든 '천원지방(天圓地方)' 형태의

                                    연못인 광영지가 조성되어 있다. 

                              지금은 흙으로 메꾸어 놓아 그 형태만을 짐작할 수 있다.

                  '천원지방'은 우리나라 전통 연못의 조성 원리로 조상들의 우주관이 상징적으로 표현된 것이다.
                        '땅을 의미하는 네모진 연못 가운데, 하늘을 상징하는 둥근 섬'을 두었다. 
                   규모는 크지 않지만 수심양성(修心養性)을 근본으로 하여

                              학문에 정진할 수 있도록 배려한' 서원 속의 정원'이다.

 

                        굳게 잠긴 문틈사이로 들여다 보았다.

                            집례를 맡은 임원들은 신문 안마당으로 들어갈수 있지만,

                        일반 학생들은 앞마당에서 참관해야 하는 신문,

                     살짝 열린 문틈사이로 안을 볼수밖에 없었다. 그래도 렌즈안에 들어온다.

                        

                        입교당앞에 비가 오는데도 가족들과 나들이 나온 아이들은

                           추운줄도 모르고, 마냥 즐거워 한다.

                                         서원의 가장 핵심적인 건물인 강당이다.
                     원래의 명칭은 숭교당(崇敎堂)이었고 명륜당이라고도 불렸다.
                       "가르침을 바로 세운다"는 의미이며, 서원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정면 5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기와집으로 가구는 5량(樑)이다.
              강학당을 가운데로 하고 동쪽의 명성재(明誠齋)와 서쪽의 경의재(敬義齋), 세 부분으로 나뉜다.
                      양쪽 방에는 온돌을 들이고 중앙의 강학당은 3칸의 대청으로 개방하였다.
                 툇마루가 마련된 명성재에는 서원의 원장(院長)이 기거했으며,
                         서쪽의 경의재는 이른바 교무실에 해당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길안내: 서울- 중부고속도로- 음성톨게이트- 518번지방도- 37번국도- 음성읍-

                                        괴산군 연풍면- 3번국도- 이화령터널 - 문경- 예천- 풍산,안동방면 34번 국도-

                               풍산삼거리 우회전- 916번지방도를 타고 4.9km- 하회마을 입구 좌회전 후 약 1km

                                 직진후 좌회전 (병산서원 팻말있음) 약 4km 들어가면 병산서원

 

                        장승쟁이 타목 김종흥선생이 계시는 목석원,

                            늦은밤 울 기자단을 위해 선뜻 작업에 몰두 하신다.

                     온 힘을 다하여 깍아내리는 장승에 혼이라도 불어넣듯 정열적인 모습에

                              조용히 망치소리에 귀 귀울린다.

                         엘리자베스 여왕과, 류시원의 모습들도 보인다.

        

                                           안동찜닭으로 유명한 목석원가든에 들어섰다.

 

                        겉보기에는 자장면에 버무린 닭요리와 같은 안동찜닭은 서울에서 맛보던것과는

                                달리 매웁지 않으면서, 그리 달지도 않다.

                          

                                    길안내: 안동 풍천면 하회리 (054) 852-3788

                       유익 하셨다면 추천한방 꾹 눌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