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사찰,성당,교회

[남원]오랜세월 절터를 지켜왔을 불상과 석탑이 35척의 금동불을 짐작케하는 만복사지

해피송702 2012. 12. 25. 00:00

 

 

 

 

 

                              오랜세월 절터를 지켜왔을 불상과 석탑이

                             35척의 금동불을 짐작케하는

                                            만복사지

                                                                                   위치: 전북 남원시 왕정동 489번지

                     

                            철쭉꽃이 피는 5월 초여름이 오기전에 이곳을 다녀 간적이 있다.

                           사계절이 아름다운 금수강산에 겨울 테마를 찾아 하얀 설경속에

                           있을 시야가 훤한 만복사지를 다시 찾았습니다.

                           계속된 영하권에 당연 남원도 소복히 눈이 쌓여 탑신위에 놓였을

                           하얀 눈을 상상하였던 여행자였지만, 누렇게 변해버린 풀위에

                           너른 절터는 조금은 쓸쓸하게 불상과 탑이 자리를 하고 있었다.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사찰의 하나로 오층석탑(보물 제30호),

                           석조대좌(보물 제31호), 당간지주(보물 제32호), 석조여래입상

                            (보물 제43호) 등이 현재 절터 내에 남아 있다.

            

                           ▶남원 만복사지(南原 萬福寺址) 사적 제349호

                  남원시내에서 순창과 광주 방면으로 약 2km쯤 지나면 왕정교가 보이고,

                  다리를 건너면 석장승과 당간지주가 보인다.

                  기린산을 북쪽에 두고 남쪽으로 넓은 평야를 둔 야산에 위치한 사적 제 349호의

                  만복사터는 고려 문종(재위 1046∼1083) 때 지어진 것으로 전한다.

                  경내에는 동으로 만든 5층과 2층으로 된 불상을 모시는 법당이 있었고,

                  그 안에는 높이 35척(약 10m)의 불상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만복사지 당간지주(萬福寺址 幢竿支柱)보물  제32호

                                      절에 행사가 있을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고 하며, 장대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이 당간지주는 만복사터에 동·서로 마주보고 서 있으며, 지주사이에

                                     세웠던 깃대는 남아있지 않고 이를 고정시켰던 구멍이 세 군데에 뚫려 있다.

                                     현재 아래부분과 기단이 땅속에 파묻혀 있어 그 이하의 구조는 알 수 없다.

                          

 

                                 ▶ 만복사지 석인상( 萬福寺址 石人像) 

                    만복사지 보호철책 바로 옆 당간지주의 북족 국도변에

                    머리 부분만 지상에 노출된채 묻혀 있다가 2009년 8월 발굴되어

                   만복사지 안으로 옮겨졌다.

                   몸을 약간 비틀고 있는 석인상은 육계가 있으며 귀가 길고

                   안구가 튀어나온 형상이다.
                   석인상의 전체 높이는 550cm 이며, 머리위에서
다리 끝까지의

                   길이는 370내외이다

                                   

                    석인상의 형태는 사각형 돌기둥에 3개의 면만을 사용하여 사람형상을

                    조각하고 나머지 한 면은 편평하게 다듬었다.

                    두 개의 구멍이 확인되며, 석인상의 머리부는 정상부가 둥글고 볼록하게

                    솟아있으며, 얼굴은 안구(眼球)를 심하게 돌출시켜 분노의 모습을 띠고 있습니다.  

 

                      조선중기까지 번창하던 만복사는 정유재란(1597)때 불타 없어졌다.

                      오랜 세월을 버터온 석탑과 돌 유물 몇 개가 절터를 지키고 있어

                      일면이나마 웅장했던 옛 사찰의 모습을 짐작케 한다.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萬福寺址 石造如來立像) 보물  제43호

                                        만복사 절터에 서 있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높이 2m의 불상이다.

                                        석조여래입상도 창건 때 같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동국여지승람'

                                        에 의하면 만복사에는 동쪽에 5층의 전각, 서쪽에  2층의 전각이 있고

                                       그 안에 35척(尺)의 금동불이 있었다고 하는데, 기록으로 보아

                                       만복사가 매우 큰 절이었음을 알 수 있다. 

                     

                                     민머리의 정수리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가 둥글게 솟아 있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에는 둥근 칼라와 같은 독특한 옷깃의 접힘이

                                    있으며, 그 아래에는 둥근 옷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오른팔은 들어 손바닥을 보이고 왼팔은 아래로 내려서 역시 손바닥을

                                    보이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

                                    손은 따로 끼울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는데 지금은 모두

                                    없어진 상태이다.

 

                             ▶석조여래입상 뒷면의 선각 약사여래 입상

                       전각안의 보물  제43호 석조여래입상을 만나고 다시 뒤돌아 문으로 나가지 않고,

                       불상뒤로 돌아 나가면 뒷 문이 나있다.

                       뒷문을 통과하기전에 뒤돌아 보면 석조여래입상 뒷면에 선각으로 나있는 불상의

                       모습을 만나게 된다.

                       이 불상의 뒷면은 면을 갈아 매끈하게 하고 그 위에 칠을 한 후 선각(線刻)의

                       여래입상을 새겼다. 

                       왼손에 약병을 들고 있으니 약사여래상이다.

                               

                  

                           도선이 당나라 군사를 묘한 언변으로 제압한 뒤 이곳에 절을 짓고

                           불상을 봉안하였으며, 탑을 건립하였다 한다.

                           그 뒤 이 절은 남원일대의 대찰(大刹)로서 명맥을 유지하였는데,

                           수백 명의 승려가 아침에 시주를 받으러 나갈 때와 저녁에 돌아올 때의

                           행렬은 장관을 이루었다고 합니다.

                           이것은 예로부터 남원 8경중의 하나로 손꼽혔으며, 조선 세조 때의

                           김시습은 이 사찰을 배경으로 한 불교소설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를 지었다한다.

            

                                                   ▶만복사지 오층석탑(萬福寺址 五層石塔) 보물  제30호

                                       만복사의 옛터에 서 있는 탑으로, 원래 이곳에는 절터 중앙에 목탑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현재 탑은 4층까지만 남아있고,

                                       5층 이상은 모두 없어졌다.

                                       이 탑은 고려 문종 때인 11세기에 세워진 것으로, 1968년 이 탑을

                                       보수하다가 탑신의 1층 몸돌에서 사리장치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탑의 받침대 역할을 하고 있는 기단부(基壇部)는 땅에 파묻혀 있는데,

                                      이는 훗날 이 지역의 땅바닥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탑신부의 1층 몸돌은 대단히 높고 2층 이상은 약 3분의 1로 크기가

                                      줄어 들었다.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고, 지붕돌은 밑면 전체가

                                      위로 들려 있어, 마치 목조건축의 지붕을 보고 있는 듯하다. 

                         

 

                    근래의 발굴조사에 의하면, 가운데 목탑을 세우고 동·서·북쪽에

                    각각 법당을 배치한 일탑삼금당(一塔三金堂)식 배치였다.

                    이 사찰은 김시습의 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 에 실린 [만복사저포기

                    (萬福寺樗蒲記)]의 무대로도 잘 알려져 있다.

                    한문단편소설인 <만복사 저포기>의 무대 내용은 살아있는 남자인 양생과

                    죽은 처녀의 애틋한 사랑을 그린 것으로 양생은 지리산으로 들어가

                    절개를 지킨다는 내용이다.

               

                       주위에 있는 또 다른 유형의 지대석과 옥개석

        

                  1탑 3금당의 가람배치이며 동탑서전 방식의 유구가 남아있다.

 

                                       ▶만복사지 석조대좌 보물제31호

                      불상을 올려놓는 받침인 석좌는 거대한 하나의 돌로 상·중·하대를

                      조각하였는데 육각형으로 조각한 것이 특이하다.

                      하대는 각 측면에 안상(眼象)을 새기고, 그 안에 꽃을 장식했으며,

                      윗면에는 연꽃모양을 조각하였다.

                      중대는 낮으며, 짧은 기둥을 본떠 새겼다. 상대는 중대보다 넓어지고,

                      평평한 윗면 중앙에 불상을 끼웠던 것으로 보이는 네모진

                      구멍이 뚫려 있다.

                      옆면에 연꽃이 새겨졌던 부분은 주변 전체가 파손되었다.

     

                      석좌 위쪽 바닥 중앙에는 불상을 고정시키기 위해 파놓은

                      사방 30cm 가량의 네모난 구멍이 있다.

     

                             ▶만복사지 석등대석(石燈臺石)

                     이 대석은 목탑지 중앙에서 12.1m 남쪽지점 즉 중문지와

                    목탑지의 가운데 지점에 위치한다.

                    1개의 화강암을 이용하여 동서 120cm 남북 115cm 아래 부분을

                    정방형에 가까운 방형으로 만든 뒤 그 위에 일변 43cm 크기의

                    팔각을 돌출 구획하고 각변에 복엽연화문을 양각하였다.

                    상면 가운데에는 간주를 끼우기 위해 직경 20cm의 구명을 파놓았다.

                    연화문의 조각수법으로 보아 고려 전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만복사 창건 당시부터 이곳에 위치하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

      

              

                       

 

 

                   

                                                                                        

                      아래 추천 버튼과 댓글 한마디는 제겐 큰격려가 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