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사찰,성당,교회

[봉화]1000여년이 넘는 시간속에서도 위엄이 서린 지림사, 국보201호 봉화 북지리마애여래좌상

해피송702 2012. 12. 16. 00:00

 

 

 

 

 

                                 1000여년이 넘는 시간속에서도 위엄이 서린 

                                         지림사 국보 201호

                                    봉화북지리마애여래좌상

                                                                     위치: 경북 봉화군 물야면 북지리 산108-2

                                 

                                  경상북도 봉화군 북지리에는 신라시대의 ‘한절’이라는 대사찰이 있었고,

                                 부근에 27개의 사찰이 있어 500여 명의 승려들이 수도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하얀눈이 주차장을 메우고 종종 걸음을 제촉하는 여행자의 눈에 띄는 지림사의

                                 전경은 너무나 소박하니 시골 민가와 별 다를게 없는 모습으로 보여지는게

                                 아직 중창불사중인 건물들이 몇채 안되어서 그런가 봅니다.

                                         

                                                     ▶ 봉화 북지리마애여래좌상

                                     봉화와 안동은 조선시대 유교문화가 깊이 뿌리를 내린 곳으로 유교가

                                     성하면서 절집은 오래전에 사라져 버렸으나, 1947년 지림사 터에서

                                     석벽을 쪼아 새긴 마애불상이 발굴 되었다.

                                     가슴까지 땅에 묻히고 덤불로 뒤덮였던 마애불이 발굴되고, 이듬해

                                     자그마한 암자가 들어섰다고 하는군요.

                                

                                     ▶ 호거산과 지림사 전경

                      입구에서 바라본 북지리 호거산에 자리하고 있는 지림사는 사찰과

                      뒷편으로 둘러쌓인 산세가 마치 호랑이가 걸터 앉은 것과 같은

                      형국이라고 합니다.

                                            

                             ▶봉화 북지리마애여래좌상 (奉化 北枝里磨崖如來坐象)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마애여래좌상으로 앞면과 옆면 각 1칸씩의 앞이 트인

                 전각 형태의 보호각을 씌워 국보 제201호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좌향은 동북방향으로 앉아 있으며 감실안의 본존불로 조성되었고, 안의

                본존 마애불은 높이 5m, 폭 4m의 바위에 새겨진 좌상이다.

                       

 

                 의상이 당나라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묵었다는 지림사의 옛터에서

                 발굴된 북지리마애불, 보는것과 같이 한쪽 이마면이 마모는 심하지만,

                불상의 높이만도 4m 남짓 되니 우선 보는 이의 시선을 압도하는 감이 느껴진다

                               

                뒷면의 배경이 되는 광배 부분에도 여러 구의 작은 불상이 새겨져 있어,

                1000여년이 넘는 시간에 훼손되긴 하였어도 화강석을 자유자재로

                깎아낸 석공의 솜씨를 생각해 보게 합니다.

           

 

                        7세기 후반기로 추정되는 7세기 중엽경의 위엄스럽고

                        자비스러운 불상미(佛像美)를 잘 보여주는 이 불좌상은

                       큰절의 본존불답게 신라조각사에 거대한 발자취를 남기고 있다.

                  

                                                   ▶대웅전

                           

                                   중창불사한지 얼마되지 않아 말끔하게 정리된 대웅전에는

                                   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님이 계셨습니다.

 

      

                          ▶봉화 북지리 마애삼존불과 마애삼층탑

                  원통전 뒤편에 암질이 사암이 많이 썩인 바위에 새겨진

                  불좌상과 탑은 암벽에 새김이 깊지 않아 형태가 크게

                  뚜렸하지는 않지만, 오랜 마모에서도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습니다.

                      

 

                                                  ▶원통전

                        

                      지림사 원통전은 사찰의 전각중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전각이라고 하는군요.

                      하지만 원통전이라고는 하나 산신탱화와 신중탱화가 있어

                      삼성각이 아닌가 싶지만, 사찰 전각들을 복원중인것을 보아 곧

                      바로 잡을것 같았습니다.

                 

 

                          원통전이란 전각 하나로 작은 암자 형태로 절이 다시 태어나고

                          있지만, 새로지은 대웅전의 단청이 하얀눈속에서도 단풍이 피듯

                          아름다운 색으로 곱게 단장 하였다.

                       

                      온천지가 하얗게 눈으로 덮혀버린 맑고 아련한 풍경의

                      사찰에서 조그녁한 분위기는 느낄수 없었지만, 보일 듯 말 듯

                      미소가 어려 있는 북지리마애여래좌상 앞에 고개를 숙여

                      마음을 가다듬어 보았습니다.

     

                      여행정보: 영주에서 36번 국도- 봉화·울진 방면- 봉화읍 봉화역-

                                      역 앞 약 500m 두 갈래- 왼쪽 봉화읍 우회도로-

                                      약 850m 삼계리 사거리- 왼쪽 물야․부석 방면- 915번 지방도로-

                                      4.7km쯤 가면 북지리초등학교 -오른쪽에 물야위탁영농유한회사-

                                      북지리마애불 지림사로 가는 길-약 400m 지림사 주차장에 닿는다.

             

                    

                                                                                            

                             아래 추천 버튼과 댓글 한마디는 제겐 큰격려가 된답니다.